굴 2030년까지 1억 6000만 달러 수출 목표!
굴 양식산업 발전 계획
정부는 굴 양식산업을 수출 상품으로 육성하기 위해 굴 양식 전용어항과 양식단지를 조성하는 계획을 수립했다. 이 계획은 굴 산업에 신성장동력을 부여하고, 2030년까지 개체굴 및 굴 가공품을 유럽 시장에 수출하여 1억 6000만 달러에 달하는 수출 목표를 세우고 있다. 이를 통해 한국의 굴 생산량과 수출액을 대폭 증가시키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굴 생산 증가와 수출 목표
해양수산부는 굴 생산량을 2030년까지 현재 30만 톤에서 40만 톤으로 증가시키고, 수출액을 두 배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목표한 수출액은 1억 6000만 달러로, 굴 산업의 체계적인 육성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한국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굴 생산국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 굴 양식 집적화단지 및 전용어항 조성
- 굴 생산 및 가공 공정의 자동화 추진
- 굴 소비 촉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굴 생산 공정 자동화
굴 생산은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자동화를 통해 생산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해양수산부는 공동 작업장에서 컨베이어 벨트 및 맞춤형 장비를 보급하여 생산라인을 현대화하고, 해상에서 자동으로 굴을 채취하고 세척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이러한 자동화는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 과정을 간소화하여 고품질의 굴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굴 소비 촉진 방안
굴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해양수산부는 음식업체와 협력하여 새로운 굴 가공식품 제작을 지원하고, 굴을 활용한 다양한 요리법을 보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굴 소비가 알굴 위주로 편중되지 않도록 다변화를 유도하며, 자조금 규모도 확대하여 업계의 자발적인 소비자 홍보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러한 조치는 국내 굴 소비를 늘리고, 소비자에게도 질 높은 해산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수출시장 다변화 전략
해양수산부는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해 개체굴 전환을 지원할 예정이다. 현재 개체굴의 생산 비중은 1%에 불과하지만, 이를 2030년까지 30%로 확대하여 유럽 시장의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다. 이러한 전략은 한국 굴의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 다양한 수출 기회를 창출할 것이다.
청정해역 보존과 위생 안전 관리
굴 생산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청정해역을 보존하고, 육해상 오염원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물 설치를 진행한다. 이는 해양 환경을 보호하고 안전한 굴을 생산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조치이다. 또한, 굴 생산 해역 인근의 하수도 보급률을 높이고, 오염원 배출 행위에 대한 교육도 강화하여 지속 가능한 굴 산업을 유지하고자 한다.
정부의 굴 산업 육성 의지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굴은 세계적으로 소비가 많은 수산물이므로 글로벌 시장 진출의 기회가 많다”라며 굴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자동화와 스마트화를 통해 양질의 안전한 굴을 생산하여 세계 1위의 굴 수출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것이다. 이러한 의지와 노력이 결합되어 한국 굴 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의 및 자료 출처
해양수산부 어촌양식정책관 양식산업과의 문의는 (044-200-5633)로 가능하며, 정책브리핑의 정책뉴스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사진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며, 법적 조치가 따를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상세한 내용은 정책브리핑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