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응급의료 설 연휴 산모 신생아 핫라인 가동!
설 명절 비상응급 대응주간
정부는 오는 22일부터 2월 5일까지 2주간을 '설 명절 비상응급 대응주간'으로 지정하고, 응급의료 유지 대책을 적극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번 대응주간에는 응급실 및 배후진료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권역·거점센터의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 250% 가산과 응급의료행위 가산 인상 등 지원 방안을 지속적으로 유지합니다. 특히 중증·응급환자 진료역량 유지를 위해 23개소 거점지역센터를 운영하며, 비상진료 기여도 평가 및 인센티브 지급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응급의료체계 유지의 어려움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부는 지속적으로 대응 방안을 펼쳐 나갈 것입니다.
응급의료 역량 유지 방안
정부는 그동안 응급의료체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강화해왔습니다. 하지만 비상진료체계의 장기화로 인해 의료진의 피로도가 누적되고, 호흡기질환의 유행으로 설 연휴 동안 응급의료체계 유지에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부는 '설 연휴 대비 응급의료체계 유지 특별대책'을 마련하고 이를 실천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중증 환자 배후 진료 역량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181개소 권역·지역센터의 중증·응급 수술 수가를 기존 200%에서 300%로 인상하여 응급환자 진료에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 발열클리닉 및 호흡기질환 협력병원을 통해 응급실의 과밀화를 최소화합니다.
- 자금 지원을 통한 코로나19 확진 환자의 입원 유도 계획이 있습니다.
- 응급실 기반 인플루엔자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비상 진료체계 구축
응급의료 체계 유지를 위해 정부는 115개의 발열클리닉과 197개의 호흡기질환 협력병원을 운영하여 응급실이 특정한 환자 유입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도록 할 예정입니다. 또한, 협력병원에 코로나19 환자의 입원이 있을 경우 20만 원의 배정지원금을 지급함으로써 환자의 적극적인 수용을 유도하는 한편, 중증환자의 신속 전원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 시스템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효율적인 대응체계 구축을 통해, 응급환자는 물론 일반 환자까지 안전하게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질환별 대응 방안
설 연휴 기간 동안 특정 질환에 대한 진료 대응을 위한 보완대책으로, 중앙응급의료 상황실 내 다양한 전담팀이 조직됩니다. 고위험군 산모와 신생아를 위해 신속한 이송과 전원 지원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병상 종합상황판을 구축하며, 시도별로 고위험 산모·신생아 대응 핫라인도 운영합니다. 이 외에도 중증·응급 심뇌혈관 환자를 위한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 10개소를 신규 지정하여 24시간 대응체계를 강화합니다. 이를 통해 의료 환경 내 불필요한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고, 필요한 환자들은 신속하게 진료받을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응급의료 기관 점검 및 관리
응급의료기관 수 | 운영 시간 | 특화 진료 |
413개 | 24시간 | 특수질환 대응 |
설 연휴 기간 동안 정부는 전국 413개의 응급의료기관에 전담관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보건소 당직 및 일일보고 체계를 운영합니다. 이외에도 24시간 재난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재난거점병원과 신속대응반을 상시 유지하여 응급의료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이러한 점검과 관리를 통해 응급의료 체계의 빈틈을 최소화하겠습니다.
응급의료 공백 최소화 계획
최근 인플루엔자 의사환자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긴급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자각이 커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기관들은 보다 적극적으로 예방접종을 권장하며, 증상이 나타날 경우 가까운 의원이나 열감기 클리닉을 찾아주실 것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손 씻기, 기침 예절, 실내 환기 등의 개인 위생 수칙을 엄격히 준수할 것을 요청드립니다. 이러한 조치는 병원의 수요를 줄이고, 병원 내 응급수요가 치료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 줄 것입니다.
의료기관과의 협력 및 소통 강화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정부는 각 지자체 및 의료기관과 긴밀히 소통하며 설 연휴 대책을 준비하겠다"고 하였습니다. 이번 설 연휴 동안 많은 환자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응급의료체계 유지를 위한 보건복지부의 노력은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이를 위해 연휴 동안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하고 예방접종 및 발열클리닉 활용의 중요성을 국민들에게 부각시키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서로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점입니다.
종합적인 대응을 위한 계획
정부는 이번 설 명절 비상응급 대응주간을 통해 적절한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응급의료의 빈틈을 최소화할 것입니다. 적극적으로 병원과 협력해 환자 수요에 맞춤형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고위험환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및 돌봄을 지속하겠습니다. 각종 고위험 질환에 대한 장기적인 대책을 통해 명절 기간 동안의 빈틈을 최소화하고, 질병과 응급상황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정부의 대응과 여러분의 협력이 어우러져야만 더욱 안전한 명절을 보낼 수 있습니다.
이후의 방향성과 행동 지침
명절 연휴와 그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의료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는 다음과 같은 행동 지침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각 시민들은 개인 위생을 철저히 하며, 증상이 의심될 경우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이는 모든 응급의료 기관과 협력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고, 각 지역의 응급의료 상황을 중앙에서 모니터링하여 유기적인 대응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보다 안전한 사회를 구현하는 기초가 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