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대 지원! 내년 산업·에너지 R&D 5조 7000억
내년도 연구개발(R&D) 지원 계획
산업통상자원부는 2024년도 연구개발(R&D)에 대한 지원 계획을 발표하며 역대 최대 규모인 5조 7000억 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 지원은 산업기술 혁신을 위한 중요한 투자로, 특히 초격차 프로젝트가 강조되고 있다. 내년도 신규과제는 약 1400여 개로 총 8700억 원 규모에 이르며, 이 중 70% 이상이 초격차 프로젝트에 배정될 예정이다. 이러한 투자는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기술을 선도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자리잡고 있다. 본격적인 지원은 2024년 1월부터 시작될 예정이며, 상반기 중 85%의 과제를 선정할 계획이다.
지원 분야 및 예산 배분
지원될 분야는 반도체,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바이오, 미래차, 차세대 로봇 등 첨단 전략 산업으로 다양하다. 분야별로 세부 예산은 다음과 같이 분배될 예정이다. 이번 예산 지원은 기술의 성장을 촉진하는 데 중대한 역할을 한다.
- 반도체 관련 기술 개발에는 1조 2565억 원이 지원된다.
- 공급망 안정화 초격차 기술에는 1조 8158억 원이 Allocation된다.
- AI와 디지털 전환을 위한 사업에는 6602억 원의 예산이 편성되었다.
연구개발과제 선정 절차
연구개발 과제는 내년도 1400여 개 과제 중 70% 이상이 초격차 프로젝트에 집중적으로 투자될 예정이다. 상반기 중 85%를 선정할 계획이며 연구자들이 보다 쉽게 선정될 수 있도록 공고와 업무 협약 과정을 신속히 진행할 예정이다. 1월부터 순차적으로 과제를 공고하고, 연구기관과의 협약은 4월부터 체결된다.
중간 점검 및 진도 관리
4500여 개의 계속 과제에 대해서도 중간 점검 절차 및 단계 평가가 실시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기술개발 목표와 방향을 조정할 수 있으며, 연구자들이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예산 집행 절차를 2월까지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방안은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주요 투자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 투자 규모(억 원) | 분야 |
반도체 첨단패키징 | 178 | 반도체 |
차세대 무기발광디스플레이 | 180 | 디스플레이 |
웨어러블 기기용 전고체배터리 | 50 | 배터리 |
산업부의 이러한 투자 계획은 특히 미래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추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표와 기대효과
산업부의 연구개발 지원 목표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술 경쟁력 증대와 국가 경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이다. 제경희 산업부 정책관은 “치열한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 우리 기업들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하였다.
FAQs 및 기타 정보
제공되는 정보는 산업부와 관련 전문기관의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사업 개요나 일정, 각 분야별 세부 지원 내용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 다음의 링크를 방문하면 된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http://www.KIAT.or.kr),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http://www.KEIT.re.kr),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http://www.KETEP.re.kr)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결론 및 앞으로의 방향
내년도 R&D 지원 계획은 K-기술의 발전과 혁신을 위한 중요한 기점이 될 것이다. 정부는 연구자들과 기업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끊임없는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